Lettuce와 Jedis: Redis 클라이언트의 비교
Redis는 빠르고 유연한 메모리 기반 데이터 저장소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된다. Java 환경에서 Redis와 상호 작용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는 Lettuce와 Jedis이다. 이 글에서는 Lettuce의 주요 특징과 Jedis와의 비교를 통해, 각 라이브러리의 장단점을 살펴보자.
Lettuce의 주요 특징
Lettuce는 비동기, 동기, 반응형 API를 제공하는 고성능 Redis 클라이언트이다. 내부적으로 non-blocking, 비동기 방식으로 구현되어 있어 높은 성능과 유연성을 제공한다.
- Non-blocking, 비동기 처리:
- Lettuce는 Netty를 기반으로 하여 non-blocking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는 높은 동시성 처리를 가능하게 하며, 시스템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한다.
- 비동기 처리를 통해 I/O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응답 시간을 단축시키고 처리량을 증가시킨다.
- 멀티 스레드 요청 처리:
- Lettuce는 단일 커넥션으로도 멀티 스레드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이는 커넥션 수를 최소화하면서도 높은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 Netty의 이벤트 루프를 활용하여 여러 스레드에서 들어오는 요청을 효율적으로 관리한다.
- 적은 커넥션 유지:
- Jedis에 비해 Lettuce는 커넥션을 많이 유지하지 않는다. 이는 커넥션 풀이 필요하지 않음을 의미하며, 리소스 사용을 최적화한다.
- Lettuce는 커넥션 관리를 자동으로 처리하여 개발자가 커넥션 풀을 직접 관리할 필요가 없다.
Jedis와의 비교
Jedis는 동기식 API를 제공하는 Redis 클라이언트로, 단순하고 사용하기 쉽다. 그러나 Lettuce에 비해 몇 가지 단점이 있다.
- 동기식 처리:
- Jedis는 기본적으로 동기식으로 작동하므로, I/O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스레드가 블록된다. 이는 높은 동시성 환경에서 성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 비동기 처리가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설정과 복잡한 코딩이 필요하다.
- 멀티 스레드 환경에서의 제한:
- Jedis는 멀티 스레드 환경에서 사용할 경우, 각 스레드마다 별도의 커넥션을 사용해야 한다. 이는 커넥션 수가 증가하게 만들며, 리소스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 커넥션 풀이 필요하며, 이를 관리하기 위한 추가적인 설정이 필요하다.
- 커넥션 관리:
- Jedis는 커넥션 풀을 사용하여 여러 커넥션을 관리한다. 이는 많은 수의 커넥션을 유지하게 되어 메모리 사용량이 증가할 수 있다.
- Lettuce는 단일 커넥션으로도 멀티 스레드 요청을 처리할 수 있어, 커넥션 관리가 단순하며 효율적이다.
Lettuce 사용의 장점
- 높은 성능:
- 비동기, non-blocking 방식으로 인해 Lettuce는 높은 처리량과 짧은 응답 시간을 제공한다. 이는 특히 고부하 시스템에서 중요한 장점이다.
- 유연한 API:
- Lettuce는 비동기, 동기, 반응형 API를 모두 제공하여 다양한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다. 개발자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API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 간단한 커넥션 관리:
- 커넥션 풀 없이도 효율적으로 작동하며, 자동으로 커넥션을 관리하므로 개발자의 부담을 줄인다.
Lettuce Connection
- Lettuce:
- Lettuce는 비동기, non-blocking 방식으로 단일 커넥션으로 멀티 스레드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 동일한 TPS로 작동할 때, Lettuce는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커넥션을 유지한다.
- 커넥션 수: 최소 1개 (단일 커넥션으로 멀티플 요청 처리 가능)
- Jedis:
- Jedis는 동기식 방식으로 각 스레드가 별도의 커넥션을 사용한다.
- 동일한 TPS로 작동할 때, Jedis는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커넥션을 유지해야 한다.
- 커넥션 수: TPS와 스레드 수에 비례하여 증가
2. 평균 응답 시간
- Lettuce:
- 비동기 처리 덕분에 응답 시간이 짧다.
- 높은 TPS에서도 응답 시간이 크게 증가하지 않는다.
- 평균 응답 시간: 낮음 (비동기 처리로 인한 빠른 응답)
- Jedis:
- 동기식 처리로 인해 TPS가 증가함에 따라 응답 시간이 길어진다.
- 높은 TPS에서는 블로킹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 평균 응답 시간: 높음 (동기식 처리로 인한 응답 지연)
3. 처리량 (Throughput)
- Lettuce:
- 비동기 처리와 단일 커넥션 사용으로 높은 처리량을 유지한다.
- Netty 기반의 효율적인 I/O 처리가 가능하다.
- 처리량: 높음 (비동기 및 non-blocking 처리)
- Jedis:
- 동기식 처리로 인해 TPS가 높아질수록 처리량이 감소할 수 있다.
- 커넥션 수가 많아질수록 관리 오버헤드가 증가한다.
- 처리량: 낮음 (동기식 처리로 인한 제약)
- 커넥션 풀링의 필요성 감소
- Lettuce는 thread-safe한 단일 연결을 제공하므로, 대부분의 경우 커넥션 풀링이 필요하지 않다.
- 커넥션 풀링 없이도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이는 커넥션 풀을 관리하는 오버헤드가 없음을 의미한다.
- 커넥션 풀링 지원
- 특정 상황에서는 커넥션 풀링이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우 높은 TPS나 특정 환경에서는 커넥션 풀링을 통해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다.
- Lettuce는 이러한 경우를 위해 일반적인 커넥션 풀링 지원을 제공하기는 함.
Lettuce는 높은 성능과 유연성을 제공하는 Redis 클라이언트로, 비동기, non-blocking 방식으로 구현되어 있어 멀티 스레드 환경에서도 효율적으로 작동한다. Jedis에 비해 커넥션을 많이 유지하지 않으며, 커넥션 관리를 자동으로 처리하여 리소스 사용을 최적화한다. Redis 클라이언트를 선택할 때는 시스템의 요구사항과 환경을 고려하여 적절한 라이브러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Lettuce는 높은 동시성과 성능이 요구되는 환경에서 특히 유용하다.
참고
https://jojoldu.tistory.com/418
Jedis 보다 Lettuce 를 쓰자
Java의 Redis Client는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Jedis Lettuce 둘 모두 몇천개의 Star를 가질만큼 유명한 오픈소스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둘 중 어떤것을 사용해야할지에 대해 성능 테스트 결과를 공유하
jojoldu.tistory.com
https://redis.io/blog/jedis-vs-lettuce-an-exploration/